테슬라 와이퍼, 그냥 손으로 들어 올리셨다가 수리비 폭탄 맞을 뻔한 적 없으신가요? 세차하려고, 혹은 겨울철 성에 제거를 위해 무심코 와이퍼를 올렸는데 ‘뚝’하는 소리와 함께 움직이지 않아 당황하셨던 경험, 분명 있으실 겁니다. 테슬라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구조가 달라, 기존 방식대로 와이퍼를 다루면 와이퍼 암이나 모터, 심지어 보닛(후드)까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부주의로 넘기기엔 수리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은 문제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 이 글 하나로 테슬라 와이퍼 올리는 방법부터 교체, 관리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테슬라 와이퍼 관리 핵심 3줄 요약
- 테슬라 와이퍼는 절대 손으로 강제로 들어 올리면 안 됩니다. 보닛 끝단에 걸리는 구조라 파손의 위험이 매우 큽니다.
- 와이퍼를 안전하게 올리려면 반드시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와이퍼 서비스 모드(또는 정비 모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 세차 시에는 ‘세차 모드’를 이용해 와이퍼가 임의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를 닦을 때는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켜야 합니다.
테슬라 와이퍼, 왜 강제로 올리면 안 될까
테슬라 차량(모델3, 모델Y, 모델S, 모델X 공통)의 와이퍼는 공기 저항을 줄이고 디자인의 일체감을 높이기 위해 보닛(후드)의 끝부분 아래에 숨겨져 있는 ‘히든 와이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와이퍼가 정지 상태일 때는 보닛에 걸려 위로 들어 올려지지 않습니다. 만약 이를 무시하고 힘으로 들어 올리려고 시도하면 와이퍼 암이 휘거나 부러지고, 연결 부위인 와이퍼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심한 경우, 와이퍼 암이 보닛 끝부분을 긁거나 찌그러뜨려 도장 손상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세차 시 와이퍼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으면 세차 기계의 브러시가 와이퍼를 강제로 움직여 파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와이퍼를 안전하게 세우는 유일한 방법, 와이퍼 서비스 모드
그렇다면 와이퍼 교체나 세차, 겨울철 동결 방지를 위해 와이퍼를 세워야 할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바로 차량의 디스플레이에 숨겨져 있습니다. 테슬라는 ‘와이퍼 서비스 모드’ 또는 ‘와이퍼 정비 모드’라는 기능을 통해 안전하게 와이퍼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모드를 활성화하면 와이퍼가 앞유리 중앙의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멈추기 때문에, 누구든지 손쉽게 와이퍼를 들어 올리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와이퍼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
테슬라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모든 모델에서 거의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차량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몇 번의 터치만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차량 주차(P) 상태 확인: 안전을 위해 반드시 기어를 ‘P'(주차) 상태에 두어야 합니다.
- 디스플레이 메뉴 진입: 디스플레이 하단의 자동차 아이콘을 터치하여 ‘컨트롤’ 메뉴로 들어갑니다.
- ‘정비’ 탭 선택: ‘컨트롤’ 메뉴에서 ‘정비’ 탭을 찾아서 터치합니다.
- ‘와이퍼 서비스 모드’ 활성화: ‘정비’ 메뉴를 아래로 스크롤하여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찾아 터치하면 와이퍼가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며 멈춥니다.
서비스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와이퍼를 원위치로 돌려놓고 싶을 때는 동일한 경로로 들어가 활성화된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다시 터치하여 꺼주기만 하면 됩니다.
상황별 테슬라 와이퍼 관리 완벽 가이드
테슬라 와이퍼 관리는 단순히 올리는 방법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세차, 교체, 일상 관리 등 상황에 맞는 대처법을 알아두면 와이퍼의 수명을 늘리고 항상 깨끗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됩니다.
셀프세차와 자동세차,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세차는 차량 관리의 기본이지만, 테슬라에게는 조금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와이퍼와 레인센서의 오작동을 막기 위한 설정은 필수입니다.
- 세차 모드 활성화: 자동세차는 물론 셀프세차 시에도 ‘세차 모드’를 켜는 것이 좋습니다. 세차 모드는 물줄기를 비로 오인하여 오토 와이퍼가 작동하는 것을 막아주고, 충전 포트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등 세차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예방합니다. ‘컨트롤 > 정비 > 세차 모드’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앞유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세척: 앞유리를 닦거나 와이퍼 블레이드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고 싶을 때는 앞서 설명한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켜서 와이퍼를 세운 후 작업해야 안전합니다.
테슬라 와이퍼 교체, 직접 해볼까
와이퍼는 소모품으로, 보통 6개월에서 1년 사이가 와이퍼 교체 주기로 권장됩니다. 와이퍼 작동 시 소음이 발생하거나(와이퍼 드드득, 와이퍼 떨림), 빗물 자국이 남는 등 와이퍼 들뜸 현상이 보인다면 교체할 시기입니다. 테슬라 와이퍼 교체 방법은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직접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합니다.
테슬라 모델별 와이퍼 사이즈 (규격)
와이퍼를 직접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인 차량 모델에 맞는 와이퍼 사이즈(규격)를 알아야 합니다. 정품 와이퍼가 아닌 보쉬 와이퍼나 덴소 와이퍼 같은 애프터마켓 제품(사제 와이퍼)을 사용할 경우, 호환 여부와 사이즈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모델 | 운전석 (길이) | 조수석 (길이) |
---|---|---|
모델 3 / 모델 Y | 650mm (26인치) | 475mm (19인치) |
모델 S (신형) | 650mm (26인치) | 450mm (18인치) |
모델 X | 700mm (28인치) | 450mm (18인치) |
DIY 와이퍼 교체 단계별 가이드
-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켜서 와이퍼를 세웁니다.
- 유리 손상 방지를 위해 와이퍼 암 아래에 수건을 깔아둡니다.
-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연결된 부분의 고정 클립이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기존 블레이드를 아래로 당겨 분리합니다.
- 새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딸깍’ 소리가 나도록 확실하게 결착시킵니다.
-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해제하여 와이퍼를 원위치 시킵니다.
와이퍼 전체를 교체하는 대신, 와이퍼 리필 고무만 교체하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욱 경제적인 유지보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와이퍼 관리 및 응급조치
겨울철에는 와이퍼가 앞유리에 얼어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무리하게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가 손상되거나 와이퍼 모터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관리 팁이 있습니다.
- 동결 방지: 밤새 주차할 경우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이용해 와이퍼를 세워두면 유리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성에 제거: 와이퍼가 얼었다면, 차량의 앞유리 열선을 작동시켜 충분히 녹인 후 와이퍼를 사용해야 합니다. 동결된 상태에서 와이퍼를 강제로 떼어내려 하면 고무 부분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 워셔액 관리: 겨울철에는 일반 워셔액보다 어는점이 낮은 겨울용 워셔액을 사용하는 것이 워셔액 노즐의 동결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깨끗한 시야 확보를 위한 추가 팁
와이퍼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고 깨끗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안전 운전의 필수 조건입니다. 특히 장마철 대비를 위해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앞유리 유막 제거 및 발수코팅: 와이퍼를 교체해도 닦임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앞유리의 유막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유막 제거와 발수코팅은 와이퍼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 와이퍼 블레이드 청소: 와이퍼 블레이드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은 소음과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세차 시 부드러운 천으로 블레이드의 고무 날을 가볍게 닦아주는 것만으로도 성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테슬라 와이퍼 올리기는 더 이상 어렵고 위험한 작업이 아닙니다. ‘와이퍼 서비스 모드’라는 편리하고 안전한 기능을 활용하여 셀프 정비의 즐거움을 느끼고, 소중한 차량을 손상 없이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사소해 보이지만 중요한 와이퍼 관리, 오늘부터 제대로 시작하여 항상 맑고 깨끗한 시야로 안전 운전하세요.
